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건증 온라인 재발급 방법 유효기간 발급 금액 총정리!(건강진단 결과서)

by 1분유용정보 2023. 8. 7.
반응형

최근 코로나에 이어 요즘 고물가 상승으로 정말 많은 분들이 용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시는데요. 학생들이 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의 대부분은 사실 요식업과 관련된 것입니다.

요식업의 종사하고 싶다면 반드시 꼭 필요한 서류 하나를 미리 준비하셔야 하는데요. 바로 보건증입니다. 오늘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보건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증이란?

보건증이란 요식업의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어야 하는 필수 서류입니다. 전염의 위험이 있는 병을 검사하고 문제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인데요.

음식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전염병이 있으면 매우 심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취지입니다. 우리에게는 보건증이라는 이름이 더 친숙하지만 최근 바뀐 정확한 명칭은 건강진단 결과서입니다.

이상 유무에 대해 검사하는 항목들은 결핵과 전염성 피부질환 여부 장티푸스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항목들의 문제가 없다는 증명서를 받아두어야만 요식업의 아르바이트가 가능한 것이죠.

보건증 발급 방법

반응형

보건증 발급 방법은 보건소를 이용하시는 방법과 병원을 이용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꿀팁을 알려드리자면 무조건 보건소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은데요. 검사 후 처리 기간이 약 4일에서 7일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보건증 수령을 위해 다시 검사를 받은 보건소 혹은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데 간편하게 인터넷을 통해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효기간 내에 보건증을 재발급 받고자 한다면 개인 병원의 경우 직접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건소 검사를 했을 시에는 이를 인터넷으로 재발급받을 수 있어 굳이 멀리 방문할 필요가 없다는 부분이 정말 편리합니다.

경우에 따라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한 뒤 준비된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분증을 제시해 주시면 되는데요.

신청 후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결핵 검사를 진행하고 피부질환 검사를 한 후 항문 검사를 통해 장티푸스 여부를 알아보게 됩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재발급) 방법

보건증 인터넷 발급(재발급) 전 유의사항
e보건소 홈페이지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위해서는 e보건소 홈페이지로 접속 후 민원서비스 > 건강진단 결과서(구보건증) 눌러줍니다.

e보건소 홈페이지

발급을 위해 정보 동의에 체크 한 후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그 다음 신청 통수와 용도를 입력하면 발급 신청이 완료됩니다. 그리고 보건증을 출력하면 됩니다.

보건증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재발급도 사용할 수 있는데요.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통해 발급하거나 보건증 발급 병원에 방문하셔서 재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병원에서 보건증을 발급한 경우에는 해당 병원에서만 재발급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건증 발급 병원 찾는 방법

보건증 발급 병원을 찾기 위해 e보건소 온라인 민원서비스로 이동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보건 소식> 보건 프로그램 찾기 메뉴로 이동합니다. 지역을 선택하고 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를 검색합니다.

검색된 결과에 전화로 문의하여 보건증 발급 여부를 확인합니다.

보건증 검사 시간

검사 시간 자체는 15분에서 30분 정도면 끝나니 그리 어려울 것 없이 매우 간단하게 혈액 전염성, 피부질환, 장티푸스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하지만 이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 있습니다.

보건증 발급 시 주의 사항

첫 번째는 보건증은 신청 후 즉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주일 정도가 걸린다는 것인데요.

급하게 필요한 경우라도 일주일은 기다려야 하기에 가능한 일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뿐만 아니라 한 번에 검사로 평생 유효한 것이 아닌 일반적으로 1년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보건증을 1년마다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새로 발급을 받아야만 계속해서 요식업 종사가 가능한 것입니다. 단 학교 급식 종사자는 6개월, 유흥업소는 3개월입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만료 시 과태료

보건증 유효기간이 만료 되거나 소지하지 않을 경우 최소 10만 원에서  150만 원까지 과태료를 받게 되니 유효기간을 제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8월 근로장려금 지급일 언제? (2023 근로장려금 정기 지급일 확정)

2023년 근로장려금 지급일 일정이 다 되어 갑니다. 이번 달은 5월에 신청한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에 대한 지원금이 지급되는 달입니다. 올해는 최대 지급금액이 단독가구 165만 원으로, 홑벌이

doublerichmind.tistory.com

보건증 발급 정리

만약 유행성 병이 있거나 건강에 문제가 있을 시에는 요식업 아르바이트가 불가능하다는 점 반드시 유의해 주셔야 합니다.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보건증 발급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필요 시기보다 일주일에서 2주 먼저 검사를 진행해 넉넉히 받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