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역사 속 고려왕조계보 알아보기

by 1분유용정보 2023. 9. 4.
반응형

고려 왕은 모두 34분이 계십니다. 1대 왕은 최수종이 주연을 맡아서 드라마를 통해서도 잘 알려진 태조 왕건입니다. 후백제, 후고구려, 신라를 통일한 고려의 건국 시조가 됩니다.

쇠퇴한 고려의 마지막 왕인 34대 공양왕은 이성계에 의하여 폐위가 되고 훗날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면서 고려 왕조는 끝이 나게 됩니다.

썸네일

그럼 이제 아래에서 고려 왕들의 계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고려왕조계보

제1대 태조 (877년 - 943년 )

후삼국 시대 후고구려의 장군이자 고려를 건국한 고려의 초대 국왕.

성은 왕, 휘는 건, 본관은 개성 발해 유민을 받아들이고 북진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호족 가문의 딸들과의 결혼정책, 자제를 도성으로 유학시켜서 볼모로 삼는 등 호족 융화적인 정책으로 정치를 하였습니다.

제2대 혜종 (912년 - 945년 )

왕건과 장화왕후 오씨의 장남이며 재위 3년 만에 사망하였으나 사망원인은 불명확합니다.

제3대 정종 (923년 - 949년)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태후유씨의 셋째 아들로 949년 3월 자신의 죽음을 예감한 정종은 동생 왕제 소를 불러 양위하고 죽었습니다.

집권 초기 왕식렴의 도움으로 박술희를 제거하고 왕규의 난을 진압한 뒤에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정통성 문제로 집권기반이 취약하였습니다.

제4대 광종 (925년 - 975년 )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고,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광덕·준풍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습니다.

제5대 경종 (955년 - 981년 )

975년 광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재위 초기에는 1년간 호족 출신 정치가 왕선이 대리청정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왕선이 권력을 남용하고 횡포로 대리청정 실권을 박탈시키고 원로대신이었던 최승로에게 1년간 대리청정을 임명하였고 이후 사촌 아우 개령군 왕치에게 선위 할 때까지 친정하였습니다.

제6대 성종 (960년 - 997년 )

경종 사후 어린 조카 송을 대신하여 왕위를 계승하였습니다. 국자감을 정비하여 관학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인재를 양성했고, 지방에는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파견하고 향학을 설치하여 유학교육을 실시하여 유교적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제7대 목종 (980년 - 1009년 )

당숙이자 외숙부인 성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어머니 천추태후(千秋太后)가 섭정하였습니다.

경종 때에 제정된 관리들의 보수 지급제도인 전시과(田柴科)를 개정하였고 시정 전시과에서 관등과 인품을 기준으로 토지를 지급한 것과 달리 주관적 요소인 인품을 삭제하였고 직관과 산관 모두에게 지급하였으며 사망시 반납을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제8대 현종 (992년 - 1031년)

신라 왕실의 외손이자 고려 제8대 국왕 오랜 여요전쟁의 여파로 여럿 소실된 고려실록을 재편찬하고, 초조 대장경을 간행하였으며 교종 대사찰인 현화사 건립을 지시하였습니다.

제9대 덕종 (1016년 - 1034년 )

처음으로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실시하고, 현종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하였습니다.

제10대 정종 (1018년 - 1046년)

고려 10대 왕으로 덕종의 친동생이며 문종, 정간왕의 이복 형

제11대 문종 (1019년 - 1083년 )

불교 중흥에 힘썼으며 재위 37년간 고려의 문물 제도가 크게 정비되어 그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합니다.

제12대 순종 (1047년 - 1083년 )

문종의 맏아들로 태어났지만, 어려서부터 질환이 있었던데다가 아버지 문종의 죽음을 너무나도 슬퍼한 나머지 심신이 쇠약해져 재위 3개월 만에 승하하였습니다.

제13대 선종 (1049년 - 1094년)

제14대 헌종 ( 1084년 - 1097년 )

신병으로 숙부 계림공(숙종)에게 왕위를 선위하고 2년 뒤에 사망하였습니다.

제15대 숙종 ( 1054년 - 1105년 )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순종과 선종의 동복아우.

제16대 예종 (1079년 - 1122년)

숙종과 명의태후 유씨의 아들로 양현고(養賢庫)라는 장학재단을 국학에 설립

제17대 인종 (1109년 - 1146년 )

예종의 장남으로 태어나, 14살에 왕위를 이었으나 즉위 초에는 이자겸이 정권을 틀어쥐고 인종을 위협받았습니다.

김부식에게 《삼국사기》를 편찬하여 완성함.

제18대 의종 (1127년 - 1173년)

제19대 명종 (1131년 - 1202년)

의종의 동생이며 의종이 무신정변으로 폐위되자 무신들에 의해 옹립되었습니다.

제20대 신종 (1144년 - 1204년)

명종이 최충헌의 정변으로 폐위되어 창락궁에 유폐되자, 최충헌에 의해 추대되었습니다.

제21대 희종 (1181년 - 1237년)

제22대 강종 ( 1152년 - 1213년)

명종과 광정왕후 김씨의 맏아들로 1211년부터 1213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이 실권을 맡았습니다.

제23대 고종 (1192년 - 1259년)

고종은 45년 10개월 동안 재위하였는데, 고려의 역대 국왕 재위기간이 가장 길다고 합니다.

제24대 원종 (1219년 - 1274년)

고종과 안혜왕후의 장남

제25대 충렬왕 (1236년 - 1308년)

원나라의 쿠빌라이의 딸과 결혼하여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었으며, 충렬왕 이후의 국왕들은 원나라 황족의 딸을 정비 또는 후궁으로 맞이하였습니다.

제26대 충선왕 (1275년 - 1325년 )

고려의 국왕이자 원나라의 봉지 심양왕직을 겸직했습니다. 재위 기간 중 권문세족이 인사권을 독점하며 폐단을 일삼던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였습니다.

제27대 충숙왕 (1294년 - 1339년)

충선왕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나라 출신인 의비

제28대 충혜왕 (1315년 - 1344년)

재화를 모으고 무리한 세금을 강제로 징수하여 유흥에 탕진하였고, 백성들의 토지와 노비를 약탈하여 보흥고에 소속시키는 등 실정이 많았다고 합니다.

제29대 충목왕 (1337년 - 1348년)

원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하였으나 후사 없이 요절합니다.

제30대 충정왕 (1337년 - 1352년 )

충혜왕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희비 윤씨이며, 이복형인 충목왕이 후사 없이 요절하자 즉위하였습니다. 재위 기간 중 외척의 발호로 정사가 문란해졌고, 왜구의 빈번한 침입이 이어지는 등 내우외환을 겪다가 숙부 공민왕의 정변으로 폐위되었습니다.

제31대 공민왕 (1330년 - 1374년)

즉위 초반에 무신 정권을 혁파하고 배원정책을 추진하여 원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고자 개혁을 추진, 영명하고 다재다능하였으며, 특히 그림과 서예에 능하였습니다.

노국공주의 사후 말년에 남색과 술, 향락에 탐닉하던 중 1374년 홍륜, 최만생에 의하여 시해도었습니다.

제32대 우왕 (1365년 - 1389년)

공민왕과 시녀 반야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명나라의 요동을 공격하기 위해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

제33대 창왕 (1380년 - 1389년)

1388년 이성계(가 우왕을 폐위시키고 9세의 나이인 창왕을 즉위시켰으며, 1389년 재위 1년 만에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당함.

제34대 공양왕 (1345년 - 1394년)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왕

1392년(공양왕 4년) 이성계와 이방원, 정도전 등은 공양왕을 폐하고 왕위가 양위되어, 고려는 사실상 멸망 후 7월 11일에 강원도 원주로 유배당함.

 

2023년 대통령 월급(연봉) 연금에 대해서 알아 보기

오늘은 우리나라 대통령 월급과 연금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합니다. 올해 2023년 대통령은 월급은 2022년과 같은 금액입니다. 참고로 올해 4급 이상의 공무원 봉급은 동결되었습니다. 그럼 이제 아

doublerichmind.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