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헬라 세포주(Hela Cell Line)란? - 무한 증식이 가능한 불멸의 세포주

by 1조클럽회장 2023. 3. 29.
반응형

늘은 무한 증식이 가능한 불멸의 세포주 헬라 세포주(Hela Cell Line)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합니다.

 

헬라 세포주(Hela Cell Line)란?

1951년 Henrietta Lacks는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조직 검체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 조직 검체에서 추출된 세포들은 불멸성을 가지고 계속해서 증식할 수 있는 세포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렇게 발전된 세포주는 헬라 세포주(Hela Cell Line)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세포주는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으며, 세포 생물학, 바이러스학, 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관련 연구 분야

 세포 생물학, 바이러스학, 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됩니다. 세포 생물학에서는 세포의 생명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에서 활용되며, 바이러스학에서는 바이러스와 세포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암 연구에서는 암 발생 기전 등을 이해하고 암 치료법 개발에 활용됩니다. 또한 헬라 세포주는 세포 분열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대량의 세포를 생산할 수 있어서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관련된 노벨생리의학상만 2개가 나왔으며,  논문은 6만 건 관련 특허는 1만 1000건이 넘고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적 가치

배양세포는 경제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으며, ‘생물의약품 산업’으로 고부가 가치 산업에 속합니다. ‘세포은행’ 확충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하지만, 우리 경제 규모나 관련 과학 기술 역량을 감안하면 늦은 감이 있습니다.

 

헬라 세포주 활용의 윤리적인 문제

하지만 이러한 헬라 세포주의 사용에는 인체의 생체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됩니다. Henrietta Lacks는 세포 추출에 대한 동의를 받지 않았으며, 그녀의 가족들은 그녀의 세포가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를 계기로 인체 세포를 이용한 연구에 대한 윤리적인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어, 인체 세포를 사용하는 연구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가 지금까지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이런 세포주를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공급하느냐의 문제입니다. 과학자들은 실험에 필요한 세포를 직접 배양해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권장되는 방식은 아닙니다. 관리 도중 유전자 변형이나 오염이 생기면 연구의 신뢰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그래서 국가적으로 배양세포를 철저히 관리하며 과련 연구 과학자들에게 제공하는 소위 ‘세포은행’이라는 것이 필요해집니다.

 50대 건강 식단을 위한 칼로리 사전과 운동 칼로리 계산기

 다이어트 , 혈당 수치 조절에 좋은 치아시드 효능 먹는 법 부작용 알아보기

 국세환급금 조회 및 신청 하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