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냄새란 입안과 인접 기관에서 나는 악취를 뜻하는데요, 구취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구강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발생한다고 해요.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양치질을 해도 사라지지 않는 입냄새라면 다른 질환이나 원인을 찾아봐야 합니다.
오늘은 입냄새의 원인 및 해결방법 구취 자가진단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냄새 원인
진행된 충치나 잇몸질환
세균에 의해 치아나 잇몸조직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황화합물이 발생하며 구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구강 내 궤양
통증으로 인해 혀나 뺨의 정상적인 운동을 통한 구강 내 세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세균이나 곰팡이 등과 죽은 세포들의 복합체인 백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혀의 설태
대부분의 구취는 혀의 뒷부분에 농축된 설태가 혐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합니다.
타액선 질환
타액이 부족하여 구강 내가 건조해지는 경우, 설태가 축적되어 구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로와 스트레스
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구강 내 건조해지거나 끈적끈적해져 설태가 축적됩니다.
아침에 입냄새가 나는 이유
아침에 입냄새가 나는 이유는 수면 중 침 분비가 줄어들어, 입안에서 세균(혐기성 세균이나 그람음성균 등)이 증식하고 악취가 나는 가스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고여있던 침의 산도가 증가하면서 입안의 음식물 찌꺼기와 잇몸의 단백질이 부패하기 때문에 냄새가 심한 황 화합물이 발생하여 입 냄새가 더 심해집니다.
구강 건조증이 심할수록 아침에 입냄새는 더 나게 됩니다.
아침 입 냄새 문제 해결할려면
수면 전에 치실이나 이 갈기로 치아 및 잇몸 사이에 남았던 음식물 찌꺼기를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하루에 충분한 물을 마셔 구강 건조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아와 잇몸에 악취를 줄이는 구강청결제를 사용하여 입안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입냄새 자가 진단법
① 배우자나 가까운 지인에게 보는 방법
② 설태를 작은 일회용 수저로 긁은 다음 몇 초 후에 냄새를 맡아봅니다.
③ 자신의 손등을 핥고 10초 후에 3cm 거리에서 냄새를 맡아봅니다.
④ 3분 정도 입을 다물고 코로 숨 쉰 후에 컵이나 두 손을 모아 손바닥에 숨을 내쉬어 냄새를 맡아봅니다.
입냄새 치료 예방법
보통 입 냄새가 많이 나면 우선 가장 흔한 원인인 입안을 청결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한 하루 두 번 이상 이를 닦고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이용하여 하루 한번 정도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냄새가 많이 나는 마늘이나 양파, 양념이 많이 들어간 육류음식은 줄이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섭취하고 저지방, 고 섬유질 식사로 바꾸면 입 냄새를 줄일 수가 있습니다.
만일 구강건조증으로 입이 계속 마른다면 침을 대신하는 물약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하니 식사 전에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무설탕 껌을 씹거나 박하사탕을 빨면 침분비가 증가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한 가지는 평소 물을 자주 마시는 것입니다.
2023년 2자녀 다자녀가구 혜택 최신판 총정리!
오늘은 아이 두 명 이상 양육하고 있는 다자녀 가구 부모님들을 위한 글입니다. 다자녀 가구 혜택에 대한 관련 지원 정보는 이 글 하나로 모두 파악할 수 있으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doublerichmind.tistory.com
댓글